'더 로드'는 코맥 매카시(Cormac McCarthy)의 2007년 퓰리처상 수상작입니다.
이 소설의 번역가 정영목 교수는 매카시에 대해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그의 늙어가는 육체에 깃든 시퍼렇게 날이 선 정신이 섬뜩하게 느껴질 정도'다. 그에 앞서 몇 가지 단편적인 에피소드를 소개해놓고 있는데, 상당히 고집스런 작가인 듯합니다. 그에겐 아무리 휘황하게 색칠해놓은 이 세상의 외양을 보여주더라도 그 밑그림의 거친 선을 손으로 만져보고서야 고개를 끄덕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정말 자신없는데, 이 세상에는 정말로 '세상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그런 사람들이 있기는 있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일흔살 된 노작가에게는 열 살밖에 안 된 아들이 있다고 합니다. '더 로드'는 바로 그의 어리디 어린 아들에게 바치는 책입니다. 매카시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작가입니다. 얼마 전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우리나라에서도 개봉한 적이 있습니다. 참 특이한 영화라서 보고 나서도 이게 무슨 내용인지 다는 해석이 안되지만, 오래 잊혀지지 않는 그런 내용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번엔 '더 로드'가 개봉을 앞두고 있습니다. 주연 배우는 '반지의 제왕'에서 스트레인저 아라곤 역을 맡았던 비고 모르텐슨입니다. '더 로드'는 무너진 세상의 길을 아버지와 어린 아들이 함께 헤쳐가는 여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길의 시작은 두 사람이 거부할 수 없었던 정해진 인간의 운명이고, 그 길의 목적지는 두 사람이 확신할 수 없는 불확실한 노정입니다.
세상이 멸망한다는 것, 아마겟돈은 그 이름으로 인해 엄청난 스케일을 내뿜고 있지만, 정작 우리에겐 좀더 현실적인 다른 의미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가령 지금 밖의 어느 거리에 아주 죽고싶을 만큼 참혹한 심정의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 앞으로 한 시간 뒤에 이 나라에 핵미사일이 떨어진다거나, 혜성이 충돌하고 지구는 끝장날 것이라고 말하면, 크게 놀라기는커녕 오히려 깔깔깔 하고 웃어댈 것입니다. 자신의 삶이 무너진 사람에겐, 지구가 멸망하든 안 하든 따위는 별 신경도 안갈 것입니다.
그 때문에 아마겟돈이란 소재는 단순한 과학소설이나 공상영화라기 보다는 일종의 상징성을 진하게 담고 있습니다. 소설에선 한 페이지만 읽어도 하루치 다 읽은 것마냥 꽉 찬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영화는 소설보다 주제를 좀 더 단순화해서 집중시켜놓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고편과 영화소개를 보니 아버지 역은 비고 모르텐슨이고 부인 역은 샤를리즈 테론입니다. 핵전쟁으로 인해 샤를리즈 테론 같은 아내가 죽고 어린 아들과 무너진 이후의 세상을 살아가야한다면, 그 심정이야 뭐 짐작이 가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아마도 비고 모르텐슨처럼 세상을 향해 총이라도 쏘고 싶어지려나요.

아래 링크는 더 로드의 OST, 'tears in heaven'을 팝페라 가수 임형주가 부른 것입니다. 'tears in heaven'은 에릭 클랩튼이 자신의 죽은 아들을 위해 만들었던 명곡이었지요. http://movie.diocean.co.kr/movie/theroad/event/mv.wmv
'더 로드', 2010년 상반기 최고의 기대작 중 하나입니다.
이 소설의 번역가 정영목 교수는 매카시에 대해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그의 늙어가는 육체에 깃든 시퍼렇게 날이 선 정신이 섬뜩하게 느껴질 정도'다. 그에 앞서 몇 가지 단편적인 에피소드를 소개해놓고 있는데, 상당히 고집스런 작가인 듯합니다. 그에겐 아무리 휘황하게 색칠해놓은 이 세상의 외양을 보여주더라도 그 밑그림의 거친 선을 손으로 만져보고서야 고개를 끄덕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정말 자신없는데, 이 세상에는 정말로 '세상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그런 사람들이 있기는 있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일흔살 된 노작가에게는 열 살밖에 안 된 아들이 있다고 합니다. '더 로드'는 바로 그의 어리디 어린 아들에게 바치는 책입니다. 매카시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작가입니다. 얼마 전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우리나라에서도 개봉한 적이 있습니다. 참 특이한 영화라서 보고 나서도 이게 무슨 내용인지 다는 해석이 안되지만, 오래 잊혀지지 않는 그런 내용이기도 합니다.
더 로드
그리고 이번엔 '더 로드'가 개봉을 앞두고 있습니다. 주연 배우는 '반지의 제왕'에서 스트레인저 아라곤 역을 맡았던 비고 모르텐슨입니다. '더 로드'는 무너진 세상의 길을 아버지와 어린 아들이 함께 헤쳐가는 여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길의 시작은 두 사람이 거부할 수 없었던 정해진 인간의 운명이고, 그 길의 목적지는 두 사람이 확신할 수 없는 불확실한 노정입니다.
세상이 멸망한다는 것, 아마겟돈은 그 이름으로 인해 엄청난 스케일을 내뿜고 있지만, 정작 우리에겐 좀더 현실적인 다른 의미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가령 지금 밖의 어느 거리에 아주 죽고싶을 만큼 참혹한 심정의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 앞으로 한 시간 뒤에 이 나라에 핵미사일이 떨어진다거나, 혜성이 충돌하고 지구는 끝장날 것이라고 말하면, 크게 놀라기는커녕 오히려 깔깔깔 하고 웃어댈 것입니다. 자신의 삶이 무너진 사람에겐, 지구가 멸망하든 안 하든 따위는 별 신경도 안갈 것입니다.
그 때문에 아마겟돈이란 소재는 단순한 과학소설이나 공상영화라기 보다는 일종의 상징성을 진하게 담고 있습니다. 소설에선 한 페이지만 읽어도 하루치 다 읽은 것마냥 꽉 찬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영화는 소설보다 주제를 좀 더 단순화해서 집중시켜놓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고편과 영화소개를 보니 아버지 역은 비고 모르텐슨이고 부인 역은 샤를리즈 테론입니다. 핵전쟁으로 인해 샤를리즈 테론 같은 아내가 죽고 어린 아들과 무너진 이후의 세상을 살아가야한다면, 그 심정이야 뭐 짐작이 가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샤를리즈 테론
아마도 비고 모르텐슨처럼 세상을 향해 총이라도 쏘고 싶어지려나요.
비고 모르텐슨
아래 링크는 더 로드의 OST, 'tears in heaven'을 팝페라 가수 임형주가 부른 것입니다. 'tears in heaven'은 에릭 클랩튼이 자신의 죽은 아들을 위해 만들었던 명곡이었지요. http://movie.diocean.co.kr/movie/theroad/event/mv.wmv
'더 로드', 2010년 상반기 최고의 기대작 중 하나입니다.
'영화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언자, 알고 보면 헐리우드 블록버스터만큼 재밌는 작품 (7) | 2010.03.12 |
---|---|
용의자 X의 헌신, 완벽한 알리바이를 구성하는 마지막 한 수 (4) | 2010.02.05 |
2010 최고의 문제작, 세상이 무너진 길 '더 로드' (8) | 2009.12.24 |
[아바타]디지털3D, 탄성을 자아내는 영화사의 신기원 (6) | 2009.12.20 |
영화 '2012', 세계 최강의 블로거를 만나다 (2) | 2009.12.05 |
당신이 만약 배심원이 된다면? 현실과 영화들 (8) | 2009.10.16 |
WRITTEN BY
- 에어헌터
다시 네거리에서
트랙백 0개
,
댓글 8개가 달렸습니다.
기쁜 크리스마스되시고 좋은 꿈 꾸세요.^^
즐거운 성탄연휴 되세요!
오픈하면 보러가야겠습니다.
즐거운 성탄절 이브 되세요.
푸른솔님 티스토리 우수블로거 축하드립니다.^^
그런 좋은 일은 블로그에 자축의 글을 올리셔도 좋을 것같습니다. 그래야 축하댓글도 달고 그러죠.
즐거운 연휴 되시기 바랍니다!
문제작일 거 같아요.
꼬옥 보러가야지~
임형주가 부르는 티어스 인 헤븐도 나름 매력이 있네요~~~
영화는 정말로 관심작입니다. 즐거운 연휴 되세요!